구글 애드센스를 하고자 하는 분들은 각각의 검색 포털에 검색 등록을 하였을 텐데요, 아직 검색등록을 하지 않으신 분이 있다면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여 검색등록부터 하시기 바랍니다. 그러고보니 다음 검색등록에 대한 포스팅을 아직 안했네요. 조만간 다음 검색등록, 줌 검색등록에 대한 방법을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포털 사이트 검색등록 하는 방법
티스토리 가입 그 후, 검색 등록(구글 서치 콘솔)
티스토리의 시작은 당연히 티스토리 가입입니다. 티스토리 가입에 대한 포스팅은 이미 지난 번에 다룬 바 있습니다. 티스토리 첫 걸음 무엇을 해야 할까? 블로그 수익화를 하기에 가장 편한 사
easyball.tistory.com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네이버 검색엔진 사이트 등록
티스토리 가입 그 후, 검색 등록(구글 서치 콘솔) 티스토리의 시작은 당연히 티스토리 가입입니다. 티스토리 가입에 대한 포스팅은 이미 지난 번에 다룬 바 있습니다. 티스토리 첫 걸음 무엇을
easyball.tistory.com
[빙 웹마스터도구] BING, 야후에 사이트 등록하자.
유명한 검색엔진은 아니지만 윈도우를 설치하게 되면 윈도우 10 엣지를 사용하면서 자동으로 설치되는 b라는 검색엔진을 보셨을 텐데요, 빙(bING) 검색엔진은 구글(G), 네이버, 다음처럼 국내에서
easyball.tistory.com
구글 서치 콘솔 색인등록 해야하나?
가장 많은 유저와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구글 검색등록, 블로그를 하는 분들의 필수 코스입니다. 그 중에서 대부분 GSC등록(구글 서치 콘솔)은 누구나 하였을 것입니다.
- 구글 서치콘솔 로그인
- 소유권 확인
- 사이트맵 등록
- RSS 등록
각각의 과정을 거치고 나면 구글에서 주기적으로 크롤링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좀 더 빠른 검색을 위해서는 구글에 직접 색인 등록을 해 주어야 합니다. 물론, 색인 등록이 구글 검색노출을 보장해 주지는 않지만 기존의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색인할 만한 자료라면 바로 반영이 되어 검색노출이 되고, 여타 유사한 컨텐츠가 많은 경우라면 아무리 여러 번 등록을 하더라도 검색 노출이 안 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게시글을 작성하고 나서 하루라도 빨리 검색 노출을 시키기 위한 작업인 색인 등록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GSC 색인 등록 방법
구글 색인 등록하는 절차는 꽤나 간단합니다. 다음의 절차를 기억해 두세요.
- 구글 서치콘솔 실행
- URL검사
- 실제 URL테스트
- 색인 등록
구글 서치콘솔 실행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구글 서치콘솔을 실행하는 일입니다. 다음 사진을 보시면 색인 등록을 하고자 주소를 URL검사를 통해서 할 수 있습니다. 방금 게시글을 작성했다면 당연히 구글 색인이 되어있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조금이라도 빠른 색인을 위해 수동으로 상단 주소창에 게시글 주소를 복사해서 입력하면 됩니다.
실제 URL테스트
이전 과정을 마치면 아직 색인 등록이 되지 않은 게시글에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올 텐데요, 우측 상단에 실제 URL이 맞다는 실제URL 테스트를 하면 됩니다. 하단에 빨간 박스는 한 번 정도 읽어보면 되는 가벼운 내용이며 아직 등록이 되지 않았다는 알림 메시지입니다.
URL이 Google에 등록할 수 있음
이전 단계에서 실제URL 테스트를 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초록색 V 표시 보이시나요? 초록색 표시가 되었다면 색인 요청을 하면 됩니다. 페이지를 색인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확인 후에 색인 생성 요청을 하면 됩니다. URL이 Google에 등록할 수 있음이라는 메시지는 구글에 색인화를 요청할 준비가 되었다는 말입니다.
혹시라도 게시글을 수정하여 제목을 수정하는 경우라면 다시 색인등록을 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색인 등록은 실시간 색인이 아닌 일정 간격의 색인이기에 구글 검색로봇이 접근하기 전에 사전에 제공을 하게 되면 하루라도 빨리 검색 노출이 됩니다.
경험상 게시글이 유니크한 경우라면 1시간 내에 반영이 되어 구글 검색노출이 되기도 합니다.
URL이 Google에 등록되어 있음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확인을 해보세요.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뜬다면 정상적으로 구글 검색노출이 되고 있음을 말해줍니다. 정보성 글이나 대부분 많은 사람들이 게시글의 내용이 공유되는 경우에는 구글이 선택적으로 색인을 하기에 모든 게시글을 색인화하지는 않습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의 색인 요청이 구글의 검색노출을 보장하지는 않는다는 말입니다. 그래도 좀 더 빨리 색인화가 된다면 많은 유입을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