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URL을 Google에 등록할 수 있지만 문제가 있음]이라는 메시지는 보통 모바일 친화적이지 않은 환경에 의해서 발생하는데요, 모바일 미지원 페이지라는 것은 모바일 기기에 검색 노출이 보장되지 않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모바일에서 보기에 사용이 불편함이 따를 수 있음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그래서 모바일 친화성 테스트를 하였을 때 테스트 결과를 확인하시고 세부 사항을 조정하시면 모바일 친화성이 좋아질 것입니다. 

 

[URL을 Google에 등록할 수 있지만 문제가 있음] 해결 방법

구글 유입을 최종목표로 하고 있는 블로거라면 늘 하는 과정이 있을 텐데요, 바로 [구글 서치 콘솔] 색인 등록이지요. 물론, 색인 등록을 하지 않아도 크롤러가 사이트 주소의 콘텐츠를 가져가지

easyball.tistory.com

 

모바일 사용 편의성 보고서에 표시될 수 있는 오류의 유형을 구글지원센터의 자료를 참고해 정리해 놓았습니다. 

 

 

ContentS

     

    클릭할 수 있는 요소가 서로 너무 가까움

    버튼, 탐색 링크와 같은 터치 요소가 서로 너무 가까이 있어 모바일 사용자가 원하는 요소를 손가락으로 탭할 때 바로 옆에 있는 요소도 함께 탭하기 쉬운 경우에 나타나는 메시지입니다. 가장 많이 나타나는 오류 메시지이기도 합니다. 

     

    해결 방법으로는

    • 테스트 스크린샷을 살펴보고
    • 모든 버튼,
    • 모든 링크,
    • 기타 터치 영역을

    확인합니다.

     

    터치 영역이 평균 손가락 끝 너비보다 가깝거나 손가락 끝이 여러 링크 타겟에 걸쳐서는 안 됩니다. 

     

    최소 권장 터치 대상 크기

    적절하게 설정된 모바일 뷰포트가 있는 사이트에서 약 48개의 장치 독립적 픽셀입니다. 

    예를 들어 아이콘의 너비와 높이는 24픽셀만 가능하지만
    추가 패딩을 사용하여 탭 대상 크기를 최대 48픽셀까지 높일 수 있습니다. 

    48x48 픽셀 영역은 약 9mm에 해당하며 이는 사람의 손가락 패드 영역 정도의 크기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사이트를 활용해주세요.

     

    Accessible tap targets

    It's important that interactive elements have enough space around them, when used on a mobile or touchscreen device. This will help everyone, but especially those with motor impairments.

    web.dev

     

     

     

    호환되지 않는 플러그인 사용

    페이지에 대부분의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지원하지 않는 Flash와 같은 플러그인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입니다.  

     

    해결 방법으로는

     HTML5와 같이 널리 지원되는 최신 웹 기술을 사용하여 페이지를 다시 디자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웹 애니메이션 가이드라인 을 미리 확인해두어도 좋습니다. 

     

     

     

     

    표시 영역이 설정되지 않음

    화면 크기에 맞게 페이지의 크기 및 배율을 조정하는 방법을 브라우저에 알리는 viewport 속성이 페이지에 정의되어 있지 않습니다. 모바일 기기는 대부분 반응형 웹을 지원하기 때문에 표시 영역 지정이 필수입니다. 

     

     

    해결 방법으로는 

    사이트 방문자는 대형 데스크톱 모니터부터 태블릿 및 작은 스마트폰에 이르기까지 화면 크기가 다양한 여러 기기를 사용하므로 페이지에 meta viewport 태그를 사용하여 표시 영역을 지정해야 합니다.

     

     

     

     

    표시 영역이 '기기 너비'로 설정되어 있지 않음

    페이지에 고정 너비 viewport 속성이 정의되어 있어 다른 화면 크기에 맞게 페이지를 조정할 수 없습니다.

     

    해결 방법으로는

    사이트의 페이지에 반응형 디자인을 도입하고 표시 영역이 기기의 너비와 배율에 적절하게 일치하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콘텐츠 폭이 화면 폭보다 넓음

    페이지의 단어와 이미지를 보려면 가로 스크롤이 필요합니다. 이는 페이지가 CSS 선언에서 절댓값을 사용하거나 특정 브라우저 너비(예: 980픽셀)에서 최적의 상태로 표시되도록 설계된 이미지를 사용할 때 발생합니다.

     

    해결 방법으로는

     페이지에서 CSS 요소에 상대 너비 및 위치 값을 사용해야 하고 이미지도 크기 조절이 가능해야 합니다. 특히

     

    initial-scale을 설정하는 외에 뷰포트에서 다음 속성을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 minimum-scale
    • maximum-scale
    • user-scalable

    이러한 속성을 설정하면 사용자가 뷰포트를 확대/축소할 수 없게 되어 잠재적으로 접근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속성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뷰포트에 맞게 콘텐츠 크기 조정 # 데스크톱과 모바일 기기 모두에서 사용자는 웹사이트를 세로로 스크롤하는 데는 익숙하지만 가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전체 페이지를 보기 위해 사용자가 가로로 스크롤하거나 축소해야 한다면 사용자 경험이 나빠집니다. 메타 뷰포트 태그가 있는 모바일 사이트를 개발할 때 실제로 지정된 뷰포트에 맞지 않는 페이지 콘텐츠를 제작하는 실수를 하기가 쉽습니다. 예를 들어, 뷰포트보다 넓은 너비로 표시되는 이미지가 있으면 뷰포트를 가로로 스크롤해야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가로로 스크롤할 필요가 없도록 이 콘텐츠를 뷰포트 너비에 맞게 조정해야 합니다. 뷰포트에 맞게 콘텐츠 크기가 올바르게 지정되지 않았습니다. Lighthouse 감사를 통해 범위를 넘어가는 콘텐츠를 감지하는 프로세스를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 이미지의 크기는 고정되어 있으며 뷰포트보다 크면 스크롤바가 나타납니다. 이 문제를 처리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모든 이미지에 100%의 max-width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뷰포트 크기가 이미지보다 작은 경우 이미지가 공간에 맞게 축소됩니다. 그러나 width가 아닌 max-width가 100%이기 때문에 이미지가 원래 크기보다 크게 늘어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미지가 스크롤바를 유발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스타일시트에 다음을 추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img { max-width: 100%; display: block; } img 요소에 이미지 크기 추가 # max-width: 100%를 사용하는 경우 이미지의 자연적인 치수를 무시하는 것이지만 <img> 태그에서 width 및 height 속성을 계속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최신 브라우저가 이 정보를 사용하여 이미지가 로드되기 전에 해당 공간을 예약하기 때문에 콘텐츠가 로드될 때 레이아웃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콘텐츠 폭이 화면 폭보다 넓음

     

     

     

    텍스트가 너무 작아 읽을 수 없음

    페이지 텍스트의 상당 부분이 페이지 너비에 비해 너무 작습니다. 따라서 휴대기기에서 텍스트를 읽기 어렵습니다. 기기의 테스트 스크린샷을 보고 문제가 있는 텍스트를 확인해 보세요.

     

    해결 방법으로는

    웹페이지의 표시 영역을 지정하고 모든 글꼴 크기가 표시 영역 내에서 적절하게 조정되도록 설정합니다. 그러면 텍스트가 기기 화면에 표시됩니다. 

     

     

     

    모바일 친화성 테스트 - Google Search Console

    Search Console 정보 Search Console에서는 해킹된 콘텐츠 감지와 같은 중요한 사이트 오류를 알리고 콘텐츠가 검색결과에 표시되는 방식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search.google.com

     

     

    자료출처 : 구글 지원 센터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